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 After Effects ] Composition ( 컴포지션 ) 에 대해 알아보자
    After Effects/기본 2018. 4. 5. 23:08

    After Effects 기본기 팁 [ Composition ]

    어디까지나 제 개인적인 생각이고 완벽하진 않습니다. 틀린 점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After Effects를 켜고 [ Cmd + N ] 또는 [ Ctrl + N ] 를 누르면 이런 창이 뜨게 됩니다.

    Composition Settings 라고 써져 있는 이 창은 말 그대로 컴포지션을 만드는 공간입니다.



    Basic 이라고 써져 있는 탭은 컴포지션의 가장 기본이 되는 설정(?)들을 설정하는 곳입니다.



    Preset : 프리셋이라고 합니다. 영상을 보일 환경을 손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Width : 가로 픽셀입니다. 요즘은 기본적으로 1920 * 1080 FHD 화질을 사용합니다


    Height : 세로 픽셀입니다.  요것들 사이에 체크박스가 있어요. 16:9 비율로 화면을 고정한다. 이런 의미인데 이걸 체크한 상태에서 Width 또는 Height를 조절하면 고정된 상태로 같이 줄어들거나 늘어납니다.


    Pixel Aspect Ratio : 픽셀 종횡비를 뜻하며 단일 픽셀의 폭과 높이의 비율을 표시합니다.


    Frame Rate : 초당 보여질 프레임의 개수입니다. 게임 속의 프레임과 비슷하게 이해하면 편합니다. 낮으면 끊겨보이고 높아질수록 부드러워집니다. 높아지면 노가다 많이해야되요. 

    드롭프레임은 밑에서 자세히 설명할게요.


    Resolution : 작업시 렌더링 품질이라고 합니다. 컴포지션을 만들고 렌더링을 할 때 렌더링 화질이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컴퓨터 사양이 낮거나 느리다면 1/4 또는 1/3을 추천합니다.


    Start Timecode : 컴포지션의 시작점을 결정합니다. [ 시;분;초 ]로 생각하면 편합니다. 


    Duration : 영상길이라고 합니다. 이 컴포지션을 몇 초 동안 지속할 것인지 설정합니다. 


    Background Color : 배경색입니다. 컴포지션의 색을 설정합니다.




    위 내용은 제가 에펙을 해오면서 알게 된 것들을 적은 것이기 때문에 정확하다고는 할 수 없지만 이해하기는 편할거에요.




    아까 위에서 "드롭 프레임 (Drop Frame)" 이라고 말했었는데, 영상 입문자분들에게는 살짝 어려운 내용일지도 모릅니다. 



    드롭 프레임을 설명하려면 TV 초창기로 넘어갑니다. 흑백 시절 TV는 30프레임으로 재생이 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컬러TV가 나오면서 흑백TV와의 호환을 위해 29.97프레임에 휘도 정보를 넣고 나머지 0.03프레임에 색 정보를 넣기로 했다고 합니다. 



    이상 간단하게 컴포지션을 알아보았습니다. 


    궁금한 점은 댓글 남겨주세요!!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