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fter Effects] 오디오 스펙트럼을 만들어보자 -2-After Effects/응용 2017. 11. 24. 12:30
[ 오디오 스펙트럼을 만들어보자 ]
이번엔 2탄 2탄
이번에는 칙칙한 이 막대기에 옷을 입혀주는 작업을 할게요.
저번에 여기까지 했었죠,,,
오디오 스펙트럼을 원 형태로 만들어 볼껍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솔리드 위에 "마스크"를 그려줘야 합니다.
그리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그릴 레이어를 선택해주고 도형 도구를 선택해서 레이어 위에 올려주기만 하면 됩니다.
<< 설명 >>
오디오 스펙트럼은 [ White Soild 1 ] 에 그려져 있습니다.
마스크는 선택한 부분만 표시를 해주는 기능입니다.
그럼 중간에 스펙트럼이 짤릴거에요.
그럴땐 당황하시지마시구,,,
[ Path ] 에서 방금 그린 Mask 1를 선택해주면
스펙트럼이 이렇게 원 모양으로 변합니다.
이제 커스터마이징을 해야 이쁘게 변하겠죠?
시작하기전에 기능들을 알아보고 갈까요?
Start Frequency : 시작 주파수값을 설정합니다. 주로 베이스가되는 낮은음역대를 컷하고 싶으면 100 정도의 값을 입력해주면 좋습니다
End Frequency : 끝 주파수를 정해줍니다. 일반적인 경우 1500 정도로 설정하면 적절합니다.
Frequency Bands : 주파수 값을 나타낼 개수, 파티클의 수입니다. 늘려주면 위의 값이 촘촘하게 채워집니다
Maximum Height : 쿵쾅대며 높아지는 값의 높이를 설정합니다.
Audio Duration : 잔향이라고 보면 좋을것같습니다. 높여주면 전반적 움직임이 부드러워지지만 편차가 줄어들고, 낮춰주면 민감하게 움직입니다
Audio Offset : 오디오보다 미리 혹은 늦게 재생합니다. 일반적으로 0에 맞춰두면 제대로 출력됩니다
Thickness : 파티클의 두께를 결정합니다
Softness : 각각의 파티클에 대한 페더값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밴드 개수를 늘려주고
높이를 적절하게 설정해주고
그렇게하다보면 짤리는 부분이 생기는데
이 부분에서는 마스크의 마스크 페더 값을 증가 시켜주면 됩니다.
이제 색을 설정해주고
Hue Interpolation 값을 돌려주면 예쁜(?) 무지개가 나옵니다.
아날로그 라인
아날로그 도트
+ A (안쪽으로)
B (바깥쪽으로)
나머지는 직접 조정하면서 만드시면 됩니다.
활용하면 이렇게 될수도 있겠네요.
'After Effects > 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After Effects] 뿅뿅하는 효과를 만들어보자! #1 (0) 2017.12.04 [After Effects] 오디오 스팩트럼을 만들어보자 -1- (0) 2017.11.23